336x280(권장), 300x250(권장), 250x250,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.
청약을 하다 보면 이게 무엇인지, 어떻게 산정해서 적어야하는지 애매한 것들이 꽤 있다.
그 중 '무주택 기간'을 적어 넣는 부분이 가장 애매하지 않을까 싶다.
도움말을 눌러보아도 잘 모르는 사람들은 알아듣기 힘든 말들만 적어놓았기 때문이다.
몇 번의 청약을 하며(다 떨어졌지만) 알게된 지식을 공유한다.
<무주택 기간 산정 방법>
1. 만 30세 이후 세대주가 집을 가지고 있지 않은 기간을 산정.
2. 만 30세 이전 혼인을 하였다면 세대주와 배우자의 무주택 기간을 산정.
→ 1, 2번 중 무주택 기간이 더 긴 것으로 계산하면 되겠죠?
기타)
* 세대주가 주택을 소유한 부양가족(부모, 조부, 조모 외)과 같이 살고 있다면 3년 이상 되었는지 체크!
3년 이상 같이 살았다면 무주택으로 봐도 된다!
이상!!
※ postscript: 혹, 이 글을 보시고 잘 못된 부분이나 추가해야 할 부분이 있다면 댓글 부탁드립니다.
'생활속의 TIP > 재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자동차 세 선납하면 10% 할인! 카드결제도 가능! (0) | 2009.12.24 |
---|---|
[Tip] 서울, 경기 미래 지하철 노선도 (2010년 이후) (0) | 2009.10.16 |
[Tip] 1년에 1,000만원 만들기!! (0) | 2009.02.11 |
[부동산] 비수기 아파트 분양받기, 7월 청약전략 (0) | 2008.07.02 |
[부동산] 청약추천! 하반기 수도권 중소형 아파트 (0) | 2008.06.17 |